
PHERAstar FSX
Powerful and most sensitive HTS plate reader
ELISA, 핵산 정량화, 단백질 분석 등에 필수적입니다.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값을 제공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생물학 및 화학에서 흡광도의 원리는 용액에서 흡수하는 분자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많은 생체 분자는 특정 파장 자체에서 흡수합니다. 핵산과 단백질은 자외선을 흡수하고, 엽록소는 청색과 주황색/적색 빛을 흡수하며, 헤모글로빈은 황록색 빛을 흡수합니다. 이러한 분석 물질은 적어도 배경 흡광도가 낮은 용액에서 발견되는 경우 추가 처리 없이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흡광도 정량화는 소수의 흡수 분자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화학 반응은 정량화를 위한 흡수 분자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반응은 특정 기질이나 효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시료에서 더 많은 화합물/효소가 발견될수록 발색(및 흡광도)이 더 강해집니다. 아래에는 세포 생존력 측정부터 단백질 분석을 통한 단백질 농도 측정까지 흡광도 측정에 대한 다양한 예가 나와 있습니다.
시료를 통과할 수 있는 빛의 부분을 투과율이라고도 하며 주로 백분율로 표시됩니다(그림 2). 용액에 분석 물질이 많을수록 더 많은 빛이 흡수되고 투과율은 낮아집니다. 그러나 흡광도는 분석 물질이 흡수한 빛의 일부입니다. 투과율1의 로그(10의 거듭제곱)의 절대값입니다. 다음은 투과율과 흡광도로 설명할 수 있는 수학 방정식과 몇 가지 수치입니다:
투과: T =Iout /Iin
흡광도: A =-log10T
표 1: 투과율 및 흡광도 값에 따른 예시
투과 | 흡광도 |
0.1(또는 10%) | 1 OD |
0.01(또는 1%) | 2 OD |
0.001(또는 0.1%) | 3 OD |
흡광도 측정을 수행한 후 결과는 투과도 또는 광학 밀도로 주어진 값입니다. 그러나 측정의 목표는 용액 속의 물질을 정량화하는 것이므로 신호를 농도 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맥주-램버트 법칙을 사용하거나 농도를 알 수 없는 시료와 표준 곡선을 병행하여 측정하는 것입니다.
비어-램버트 법칙은 흡수 물질의 흡광도, 경로 길이 및 농도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A=c*d*ε
c로 변경: c=A/(d*ε)
비어-램버트 법칙은 A - 흡광도, c - 농도, d - 경로 길이, ε - 소멸 계수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흡광도는 농도에 경로 길이와 소멸 계수2를 곱한 값에 선형입니다. 경로 길이는 빛이 통과해야 하는 시료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큐벳에서 경로는 1cm로 표준화됩니다. 소멸 계수는 흡수 물질과 특정 파장에 특정한 상수이며, 일반적으로 물질의 최대 흡광도입니다. 특정 물질이 특정 파장에서 빛을 얼마나 강하게 흡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소 혈청 알부민(BSA)의 질량 소멸 계수는 0.67µl*cm-1*µg-1입니다. 따라서 경로 길이가 1cm인 1µg/µl BSA 용액은 0.67 OD의 흡광도를 갖습니다.
비어-램버트 법칙은 다른 시약을 추가할 필요 없이 흡수 물질을 정량화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그러나 아래에 설명된 대로 제한이 있습니다.
비어-램버트 법칙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 중 하나라도 해당되지 않는 경우 분석물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거나 표준 곡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래드포드 분석과 같은 비색 단백질 정량 분석은 단백질이 있을 때 흡광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에 의존합니다. 이 증가는 시료뿐만 아니라 알려진 단백질 농도가 있는 표준 곡선에서 측정되어 농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빛의 투과/흡수를 측정하려면 먼저 빛이 필요합니다. 흡광도 측정에는 다양한 광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광원이 커버하는 스펙트럼 범위, 강도 및 방출하는 빛의 안정성이 다릅니다.
텅스텐 할로겐 램프는 360nm에서 1000nm 이상의 범위를 커버하며 비용 효율이 높아 자주 사용됩니다. 그러나 제논 플래시 램프는 220nm에서 1000nm까지의 스펙트럼 영역을 커버하며 스펙트럼의 자외선 범위를 커버합니다. 따라서 핵산(260nm)과 단백질(280nm)의 검출 및 정량화가 가능합니다. 비엠지랩텍 흡광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는 흡광도 측정을 위한 제논 플래시 램프가 장착되어 있어 220~1000nm 사이의 모든 파장 또는 전체 파장 스펙트럼을 측정할 수 있는 최고의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흡광도를 측정하려면 관심 있는 액체를 큐벳이나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옮겨야 합니다. 연구자가 관심을 갖는 것은 물질이 아닌 용액의 흡광도이기 때문에 큐벳과 마이크로플레이트의 재질은 항상 투명해야 빛이 최대한 투과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재료가 일반적이며 서로 다릅니다. 폴리스티렌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세포 배양이나 ELISA 용도에 따라 특정 결합 특성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외선 범위에서 비투과성이므로 400nm 미만의 흡광도를 측정하려면 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의 특수 판을 사용해야 합니다.
고려해야 할 두 번째 측면은 신뢰할 수 있는 흡광도 측정에 필요한 시료의 양입니다. 표준 큐벳은 약 4.5ml가 필요하지만 세미마이크로 볼륨 큐벳은 1.5ml까지, 마이크로 볼륨 큐벳은 70µl까지 부피를 줄일 수 있습니다. 큐벳 측정은 수평으로 이루어집니다. 한쪽에서 시료로 빛을 보내면 반대쪽에서 투과된 빛이 감지됩니다. 따라서 큐벳의 기하학적 구조는 1cm의 표준화된 경로 길이를 제공합니다. 이는 수직으로(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진행되는 마이크로 플레이트 측정과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경로 길이도 시료 부피에 따라 달라지며 한 번의 실험에 동일한 부피를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메니스커스 효과는 마이크로플레이트 흡광도 측정에서 경로 길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방법 참고: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경로 길이 및 메니스커스를 다루는 방법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마이크로 플레이트 중앙에서 수행한 측정은 메니스커스가 없는 측정에 비해 강한 메니스커스가 있는 경우 경로가 훨씬 짧아집니다. 이는 맥주-램버트를 적용하거나 실험에서 반월판이 매우 가변적인 경우에 특히 중요합니다. 수용액에서는 물의 흡광도를 활용하여 반월상 연골에 따른 경로 길이 변화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물-피크 경로 길이 보정).
표준 96 웰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100~300µl 범위의 샘플 부피에 사용되며, 2.9~7.4mm인 경우 대략적인 경로 길이로 변환됩니다. 경로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귀중한 시료의 부피를 더 줄여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 반면적 플레이트 또는 고밀도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플레이트는 웰 면적은 더 작지만 표준 96웰 플레이트와 높이는 동일하므로 더 적은 부피로 높은 경로 길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버퍼 성분, 플레이트 및 빛 산란 효과로 인한 원하지 않는 흡광도에 대한 흡광도 측정을 보정하기 위해 블랭크는 시료와 병행하여 측정합니다. 적절한 블랭크에는 분석물을 제외한 분석의 모든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대로, 이는 PBS 또는 물 블랭크가 불충분한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분석 시료와 블랭크에서 발견되는 입자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입자는 빛을 산란시키고 검출기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측정된 흡광도 값이 증가합니다. 입자가 용액에서 움직일 때 빛의 경로를 차단하면 감지됩니다. 감지 경로를 벗어나면 측정되지 않습니다. 이 현상은 흡광도 데이터의 변동성을 증가시킵니다. 측정된 용액에서 입자를 제거할 수 없는 경우 흡광도 측정 시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면적을 넓게 커버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모든 BMG LABTECH 기기가 흡광도 측정을 위해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투과된 빛이 시료를 통과한 후에는 이를 감지해야 합니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유형의 검출기, 즉 광증배관(PMT) 또는 CCD 분광기가 사용됩니다. PMT 기반 시스템은 검출 전에 파장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시료로 유도되기 전에 원하는 파장을 선택하는 광학 필터 또는 모노크로메이터에 의해 수행됩니다. 그러면 원하는 파장의 투과광이 PMT에 도달합니다. PMT는 투과된 빛의 신호를 증폭하여 그 강도를 나타내는 전압을 생성합니다. 다양한 파장 범위에서 흡광도를 스캔하기 위해 PMT 기반 시스템은 스펙트럼의 각 지점에 대해 원하는 파장을 선택하고 순차적으로 측정하는 모노크로메이터를 사용합니다.
이것이 두 번째 유형의 흡광도 감지기인 분광계와의 주요 차이점입니다. 분광기는 투과된 빛을 여러 파장으로 분할하고 이를 CCD 검출기로 보내 모든 파장의 강도를 한 번에 캡처합니다. 이렇게 하면 스펙트럼뿐만 아니라 단일 또는 소수의 파장 측정도 비슷한 시간 내에 획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MG LABTECH 기기는 흡광도 측정에 UV/vis 분광기를 사용하여 1초 이내에 전체 스펙트럼(220~1000nm)을 캡처합니다.
자외선 범위에서 측정할 때는 핵산 또는 NADH에 필요하므로 반드시 자외선 투명 플레이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흡광도 측정 시 모든 시료에서 최대 흡광도가 측정됩니다.
큐벳의 경로 길이는 1cm로 정규화되지만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는 부피와 플레이트 형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얻은 흡광도는 일반적으로 큐벳에서 측정한 동일한 용액의 흡광도보다 낮습니다. 수용액을 측정하는 경우 물-피크 경로 길이 보정을사용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측정값을 1cm로 정규화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경로 길이를 결정하면 비어-램버트 법칙을 사용하여 분석물 농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측정할 때는 항상 동일한 부피를 사용하여 모든 시료에 대해 동일한 경로 길이를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메니스커스가 있는 시료의 경우 동일한 부피를 사용하더라도 경로 길이가 다를 수 있습니다. 수용액의 경우 물-피크 경로 길이 보정을 사용하여 문제를 극복하거나 Beer-Lambert 계산을 위한 경로 길이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빛의 경로에 있는 모든 것은 측정된 흡광도를 증가시킵니다. 종종 시료의 기포, 뚜껑의 응결, 먼지, 긁힘 또는 플레이트 바닥의 지문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측정 직전에 플레이트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흡광도 측정은 용액 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시료의 전체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비색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웨스턴 블롯이나 면역 침전 등의 다운스트림 애플리케이션 전에 단백질 샘플을 정규화하는 데 필요합니다. "단백질 측정: 적합한 방법 찾기"블로그 문서에서Bradford, BCA 및 기타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선택에 도움이 되는 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핵산과 그 성분은 260nm에서 자연 흡광도를 나타냅니다. 시료 전처리나 염색 절차 없이도 이 파장에서의 흡광도 측정을 활용하여 DNA/RNA 농도를 빠르고 쉽게 측정할수 있습니다. 230nm, 280nm 또는 340nm와 같은 다른 파장에서 추가 측정을 수행하여 핵산 순도를 추가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흡광도를 사용하여 용액 내 특정 단백질을 정량화할 수도 있습니다.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ELISA)입니다. 간단히 말해, 마이크로 플레이트 웰에 고정된 항체가 관심 있는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플레이트에 포획합니다. 마찬가지로 관심 단백질에 특이적인 두 번째 항체는 포획된 단백질에 결합하여 2차 효소 보유 항체에 의해 인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료에 관심 단백질이 많을수록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더 많은 효소가 잘 결합됩니다. 효소에 의해 발색단으로 변환된 기질은 최종적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의 양을 보고할 수있습니다3.
세포의 건강 상태를 보고하는 비색 분석은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됩니다.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사용하면 한 번에 여러 조건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흡광도 기반 방법은 주로 대사 활성 세포의 능력에 의존하여 MTT 또는 레사주린과 같은 기질을 감소시킵니다. 환원된 형태는 특정 파장에서 흡광도를 표시하므로 세포 시료의 대사 활동을 보고하며, 이는 종종 세포 생존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특성입니다4. 세포 생존력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세포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비색법 및 기타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와 광도계의 흡광도 판독 모드는 "600nm에서의 광학 밀도"(OD600)를 측정하여 박테리아와 효모의 증식 여부를 결정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이 측정 모드에서 측정하는 것은 흡광도가아니라 광산란5입니다. 미생물 현탁액에 있는 입자(박테리아 또는 효모)는 빛을 산란시키므로 용액에 미생물이 많을수록 더 많은 빛이 산란됩니다. 이는 또한 검출기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적어지고 측정된 투과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생물 수가 증가하면 더 높은 흡광도가 계산되지만, 이러한 변화는 600nm에서 특정 흡광도 대신 빛 산란의 증가로만 발생합니다.
Powerful and most sensitive HTS plate reader
Most flexible Plate Reader for Assay Development
Flexible microplate reader with simplified workflows
Upgradeable single and multi-mode microplate reader series
Absorbance plate reader with cuvette port